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학초전 박학초실기
일러두기

관동포 박현성 직곡접에 입도

이때 1894년(갑오년) 2월 8일은 왕세자 전하 생일이었다. 매년 해마다 과거를 보아 일국의 선비를 모아 (대과 급제는) 세록에 양반 고가(高家) 사색이 있어서 문호(門戶) 별임으로 우선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초시, 진사 급제를 매매하는 습관으로 과거 볼 때이었다. 박학래의 재종 아우 박영래가 도령으로 인물 절묘하여 경성 삼청동 심(沈) 판서 심상훈(沈相薰) 씨 집에 있어, 재종 간 두 이름으로 과거 보아 동반 진사(進士) 양장이 되었다. 국가가 일이 있고, 동학란으로 인하여 과거 창방(唱榜)을 일찍 하지 못하고 6월이 되어서야 창방을 하였다. 전 같으면 백패(白牌)유서통을 앞세우고 금의화동의 쌍저(雙笛)를 울리고 장안대로부터 위군 열 읍을 돌아다니며, 선산에 과거 급제의 영을 전하고 각 촌이 환영하며 앞에 놓인 주육(酒肉)이 풍성하였겠지만 동학이 횡행하여 정치를 하는 풍성(風聲)으로 과거한 자 역시 세록 행세하여 백성을 털어먹는 괴수라 하여 불알 까는 욕을 뵌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러한 때에 과거에 급제한 행사를 어찌하리오. 하물며 방백 수령도 군졸들로 하여금 삼문을 지키게 하고 자기 신명 보존을 하자고 사면을 지키고서는 각처의 동정만 살피고 지낼 따름이었다.
 당시 경상감사는 나라의 원로이신 조병호(趙秉鎬)이었다. 위국 안민 계책을 생각하되, 동학의 속내를 속속히 알지 못하니 일일 정탐하는 중에 세계를 정리(正理)하여도 동학 중에 있는 사람이라야 동학의 야단을 침식할 말이 있으니, ‘불입호혈(不入虎穴)이면 안득기자(安得其子)’란 생각이 들었다. 박학초는 이 말을 심중에 새기고 세상 형편을 둘러보니 동학 입도한 사람이 아니면 세상에 용신(容身)할 곳이 없어 보였다. 애애창생(哀哀蒼生)은 오백 년 사족(士族)이 죽어라라고 하니 (이를) 구제할 도리가 없는지라. ‘불입호혈이면 안득기자’의 이(理)가 정령하고 부친 통정공의 명령도 또한 그러하니, 사족대가로서 뜻을 가진 사람 4〜5인이 같은 마음먹고 학초가 먼저 입도하는데, 관동포(關東布) 최맹순(崔孟淳)의 접 박현성(朴賢聲)의 직곡포(稷谷布)에 (입도하였다.)
 입도하던 날부터 불과 수십 일 내에 (학초의) 휘하에 입도한 이가 5,772인이었다. 각 군(郡), 각 접(接)에 피착되어 견디지 못하는 사람이 모두 다 와서 옛날 원통한 일을 해결해 주기를 호소하는데, 어떠한 접은 가 보니 4~50명 또는 근 백 명씩 열을 지어 앉아서 그 중에 민장(民狀, 민간의 소장)을 받아 쌓아 놓고 공사(公事)를 처리하고 있었다. 학초포가 들어갈 때 먼저 선통을 하고 좌우에 기찰(譏察) 수삼 명을 대동하고 일변 들어가면서, 잡아 꿇린 자, 갓 벗기고 결박(結縛)하여 꿇린 자를 일제히 결박을 풀고 갓 찾아 쓰이고 좌석을 비키라 하여 같이 열석에 앉혔다. 연후에 다수한 인원에게 인사말에 겸하여 한꺼번에 사유를 연설하였다.
 “도중 주지(道中主旨)로 말하면, 유불선 삼도가 예의, 염치, 오륜 등속을 각자 마음을 닦는 데 쓰는 것이 옳습니다. 가정을 다스림과 나라를 다스림에서 인류방분에 이르기까지 모두 동포 형제입니다. 이왕 과실이 있다 해도 죄를 뉘우치면 모두 허물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설혹 개과를 못한 사람이 있다고 해도 관청 관리가 아니고 백성을 다스리는 법은 유불선 도(道) 중에도 없고, 법률상에도 없습니다. 어찌하자고 동포 형제를 모두 잡아 사형(私刑)을 설치코자 합니까. 천지에 상제라 하든지 가정의 부형이라 하든지, 위민부모 관장이라 하더라도 모두 교화하여 아름다운 풍속을 만들지 못하면 도리어 부끄러운 일입니다. 어찌하여 (사람에게) 상해를 입힌단 말이오. 다시는 그리 맙시다. 만일 이 중에 이 사람의 말을 불가(不可)하다 하시든지, 은밀히 싫어하시고 의심하시거든 심중에 쌓아 병 되게 하지 마시고 끝나거든 함께 보은의 장안도소에 가서 알아봅시다. 만일 상접에 가서 물어보지 못하거든, 아주 앉아서 의논하고 다시 그리 마시오.”
 좌중이 아무 말 없이 조용하고, 혹 들리는 소리로는 ‘옳다’ 하는지라, 좌중의 민소 장축을 당겨 놓고 일일이 열람하였다. 도중에 들어온 민소는 “이 사람도 못할 바 아니오니 여러분이 미처 못한 일을 이 사람이 한다.” 하고 제사(題辭)를 쓰기 시작하였다.
 일, 원총(寃塚)굴은 이미 팠건 다시 팠건 간에 백골적원(白骨積怨)은 본 도중(道中)의 일이 아닌지라 폐문갱사(閉門更思)하고 다시 생각하니, 바로 법관에게 가서 소장을 올리는 것이 가(可)하고 도중에서는 담당할 일이 아닐 일.
 일, 채무에 관한 소송이 당연히 독봉(督捧)인지의 사실 여부를 알아본 후 도중에서 관여할 일임.
 일, 횡탈금(橫奪金)에 대해 조사하는 문제는 재판할 때에 사문과 곡절을 도인이 어떻게 알 수 있으리오. 형세상 어쩔 수 없다. 비록 그렇더라도 횡탈 이후에 자수하여 안번하면 식역수도사.
 일, 빼앗긴 곳에 가서 다시 찾아오는 일은 인륜으로써 할 일이 아님. 백주 고분이 정사 억울하되, 빼앗은 일에 대해 중요하고 확실한 내용이 없으면 다시 받기는 불가하니 환추 지역으로 갱고(更考). 금실하면 확남신정이 리불구승호아.
 이와 같이 모든 작축한 송안을 삽시간에 처결하고 떠났다. 그 중 소장에 걸렸던 사람은 각기 모두 소문을 듣고 가족들이 진심으로 송덕의 말을 하며 가족과 친척을 데리고 와서 또한 입도한 이가 그 뒤로 풍성하였다. 뜻대로 돌아가지 않는 일이 더욱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주석
창방(唱榜) 창방(唱榜):과거 급제자의 이름을 발표함.
백패(白牌) 백패(白牌):소과에 급제한 생원이나 진사에게 주던 흰 종이 증서.
유서통 유서통:왕의 유서를 넣어 다니던 통.
조병호(趙秉鎬) 조병호(趙秉鎬):1847~1910.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덕경(德卿), 서울 출신이다. 1866년(고종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홍문관 관원으로 법규교정소 의정관이 되었다. 그리고 1869년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881년 수신사로 일본에 가서 관세 문제를 논의하고 돌아왔다.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일본 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 일행을 장악원으로 피신시켰다. 그리고 청군(淸軍) 입성 시에는 영접관이 되어 안내하였다. 1883년 안동부사로 동래민란과 성주민란의 안핵사를 겸임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 후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로 일본에 망명 중인 김옥균ㆍ박영효 등의 소환을 일본 정부에 요구하였고, 그 뒤 강화부 유수를 거쳐, 1885년 공조ㆍ예조의 판서, 한성부 판윤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1889년 의정부 우참찬과 한성판윤을 지내고, 1892년 충청도 관찰사, 1894년 경상도 관찰사가 되었다.
불입호혈(不入虎穴)이면 안득기자(安得其子) 불입호혈(不入虎穴)이면 안득기자(安得其子):‘호랑이의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어찌 그 새끼를 얻을 수 있겠는가’라는 말로, 뜻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서는 마땅한 일을 하고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다.
사족대가로서 뜻을 가진 사람 사족대가로서……사람:원문에는 ‘사족대가의중지인(士族大家意中之人)’으로 되어 있음.
휘하 휘하:원문에는 ‘지하(支下)’로 나옴.
옛날 원통한 일을 해결해 주기를 옛날……주기를:원문은 구원신설(舊怨伸雪)로, 옛 원한을 설욕한다는 뜻.
도중 도중:동학도는 스스로 동도(東道)를 배우는 도인(道人)을 자처하였고, 동학의 접과 포 조직을 스스로 가리킬 때 도중(道中)이라는 말을 썼다. 『학초전』에도 도중이란 말로 동학 조직 또는 동학도를 표현하였다.
모두 교화하여 아름다운 풍속을 만들지 못하면 모두……못하면:원문에는 화민성속이라 하여 유교적인 가르침으로 화민성속(化民成俗)을 가리킴.
장안도소 장안도소:동학 도접주들의 총집회 기관으로, 동학의 2대 교주인 최시형이 포덕하는 곳이다.
제사(題辭) 제사(題辭):관부에서 백성이 제출한 소장(訴狀)에 쓰던 관부의 판결문.
아래는 각종 제사의 다짐을 서술한 부분으로 “일”로 서술하였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