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학초전 박학초실기
일러두기

폐문루 북을 침

당시 조선국 정부에서 사람 쓰는 법은 돈이 있는 자에게 돈을 받고 관직을 사고파는 매관매직과 세록(世祿)이 주된 방법이었다. 나라에서 여러 대를 거쳐 관리를 하는 세록지가(世祿之家)에게 돈을 안 바치고 수령으로 오는 사람은 오백에 하나쯤 되었다. 인민의 원(怨)ㆍ불원(不怨)을 마치 고질병 보듯이 하거니와, 그 외 모두는 탐학이요, 겉모습은 관장(官長)이나 실제는 강도라 하기에도 충분하였다.
 심지어 그 일가와 원근(遠近)의 친구며, 서로 보고 사귄 사람이며, 아유구용(阿諛苟容)을 하며 뒤를 따라 그 고을 읍저(邑底)에 머물면서 여관(旅館) 영읍자(營邑者)를 판도(版圖)내며, 아전, 장교, 기생 등 소위 간향활리(奸鄕猾吏)와 연락하여 (죄목을 만들어 내는데) 뉘가 이소능장(以少凌長) 하였느니, 뉘 집에 생피 붙었느니, 뉘 집에서 불효 불목(不孝不睦)하였느니, 뉘가 받을 돈이 몇 회, 몇 되나 되는 채금(債金)이 있느니, 뉘가 강간(强姦) 화간(和姦)이니, 이 같은 허구한 소개를 만들어 관정(官庭)에 잡아올 때 주로 저녁이나 새벽에 인민의 집에 달려들어 사람을 잡아 결박하여 구타하였다.
 심지어는 사령(使令)과 장교를 비롯하여, 군뢰(軍牢, 죄수를 다루는 나졸), 면주인(面主人)과 대주인까지 나서서 족쇄를 채우니 끝내는 잡힌 백성의 살림까지 힘닿는 대로 없는 것을 있는 대로 강탈하였다. 하다 못해 얽을 방법이 없지만, 살림이 넉넉한 요부(饒富) 신사(紳士)는 사문사(査問事)이니 존문(存問)이니 하여 불러 강탈하였다. 만일 소송에 걸린다면 의례히 털어먹히는 백성이다. 그 중에 진영의 영장(營將)이라 하면 인민들에게는 세상에 없는 염라부이다. 군수가 마음대로 하지 못한 자는 진영(鎭營)에 정하면 더할 데 없이 막가한 저승이다. 또 그 위에 감사(監司)가 착취하는 일이다. 통제사(統制使)의 영지(令旨, 내린 뜻)이다 하여 백성을 괴롭히고 재산을 탐학하는 수단은 별별 능한 수단이 다 있었다.
 학초의 부친 통정공(通政公)은 당시 충청도 단양군 성 참판 집 농막(農幕)을 보아 주고 있었다. 어느 날 유학길(柳學吉)이라는 사람이 계집종을 성 참판 집에 팔고 그 대금을 자기의 농막에 가서 찾으라 하는 (성 참판의) 통지를 들고 받으러 왔다. 유학길은 그 농막에 참판 집 곡식을 먹었던 만큼 그 대금과 (계집종을 판 돈과) 서로 계산하여 준수히 갚으라 하였더니, 먹은 곡식 값은 갚지 아니하고 받을 돈만 취하고자 하였다. 유학길은 성 참판 집에 가서는 감히 말을 못하고 백계힐난(百計詰難)으로도 여의치 못하자 안동 진영에 요로(要路)를 탔다. 1877년(정축년) 정월 21일 새벽 미명을 이용하여 벌떼 같은 진영의 나졸들이 집에 달려들어 솔개가 새를 움켜잡듯이, 불시에 강도처럼 달려들어 협박하듯이 하니 강약부동은 거론할 필요가 없었다. 당시 진영 포교라 하면 온 마을 인민은 도망이 주장이었다.
 풍우같이 잡혀간 후 학초가 이 광경을 보니 자신의 힘으로는 부친을 구할 도리가 만무하였다. 천병만마(千兵萬馬)를 청병(請兵)하는 능력은 없더라도 심상히 보고 있을 수 없는 것이 자식의 도리이다. 힘으로 말하면 14세 초립동이 모기가 태산을 겨루는 형상인데, 하물며 관졸(官卒)을 누가 어찌 감당할 것인가? 불시에 떠오르는 소견으로는 사실대로 걸어가며 생각하여 소장(訴狀)을 지어 본관(本官)에 급한 소지(訴志)를 청하려 하였다. 당시 풍속으로 삼문을 들어가는데, 사령 등이 기다리라는 말만 하니 들어갈 가망이 없었다. 시각이 급급한데 어찌 그 말대로 기다리고 있으리오. 특별한 거조(擧措)가 없고는 어찌할 방도가 없어 보였다. 사령들 보기에는 심상히 물러나는 것같이 나와서는 즉시 이미 닫힌 폐문루(閉門樓)에 올라 북 밑에 떨어져 있는 채를 찾아 들고 북을 마구 쳐 댔다. 그 북소리가 둥둥 부중에 크게 울려 야단이 났다. 문간이 바싹 타는 듯이 오며 가며, 또 내아에서 진대답 소리, 급창은 “네 빨리 에네데.” 하더니 풍우같이 와서 학초를 앞세워 데려갔다. 청 위에 군수가 앉아 호령하였다.
 “어찌 한 초립동 백성이 무슨 급한 원통함이 있어 이같이 하느냐?
 “민(民)은 아무 면 아무 동에 사는 박학래이옵니다. 집에 아비가 불시에 횡액을 당해 방금 죽고 사는 명(命)이 경각에 있습니다.”
 학초가 큰 소리로 울며 올려다보고 말하기를 “민의 아비가 죄가 있을 것 같으면 성주 합하(閤下)께서 유죄, 무죄를 밝히시어 유죄라면 성주가 처치하실 것입니다. 사실로 말하면 단양 성 참판 집에 가서 종을 판 대금을 민의 아비가 아니 주면 단양을 다시 가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자기 입으로 먹은 것을 아니 갚으려고 이같이 하는 것은 적반하장이라 할 만합니다. 성 참판 집은 성세강약으로 못하고 억지 행위가 이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성주 전에 정하지 아니한 월소정장(越訴呈狀)임은 추측하셨을 것입니다. 항차 성주는 이 지방 백성의 원ㆍ불원을 밝혀 주실 목적으로 조정의 명을 받으신 분입니다. 백성의 이 같은 민원을 돌아보지 않으시면 지방에 있는 낮은 백성이 어디에 가서 호소하며 어느 천지에 살기를 바라오리까? 민의 아비가 방금 중로(中路)에서 죽사오니 특별히 살려 주시기 바라나이다.” 하였다.
 군수가 말하기를 “너 애자(哀子)가 울부짖는 소리와 관정에 낸 정당한 민소에 대해서는 살펴볼 터이니 대령해 있으라.” 하였다.
 사령 둘, 장교 둘에게 맡겨 발송하여 주거늘, 학초가 다시 아뢰었다. “황송하오되, 방금 형편으로 말하면 진영 나졸과 군수 나졸 간의 강약도 크게 차이가 나고 체통도 크게 차이가 납니다. 안동 지방으로 넘어서면 안동 진교는 가히 백만 군졸이라, 여혹 미치지 못한 동시에는 성주 관하 지방 소도처의 동민을 대동하여 일체거행(一切擧行)하도록 영지(令旨)하여 주시기 바라나이다.”
 군수는 한참 동안 말없이 있다가 “그리하라.” 하고 승낙하며 소장 등장에 특별히 배지하여 주었다.
 학초는 절을 하고 물러나서 군교를 데리고 풍우같이 안동 가는 길을 질러갔다. 가는 도중 소도처마다 각 동 인민을 영솔하여 중노에 가서 부친을 구하고 진교와 진영에 소장을 낸 장민(狀民)을 결박하여 본관으로 가자 하니 어찌 가기를 반기겠는가? 들거치에 울러 메고 돌아왔다. 각 동네의 백성은 전부터 안동 진영 나졸들의 폐단을 증오하고 있던 터라 마치 싸움에 이긴 기분으로 “너화 너화” 소리를 외치며 연로를 지나가니 일시에 구경꾼들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제각기 하는 말이 이 세상에서 처음 보는 설욕이요, 사람의 자손 된 자로서 분명하다는 칭찬의 소리도 들려왔다. 군청에 잡아 바치니 (진영 장교는) 징계를 한 후에 풀어 주고 장민은 엄치한 후 (사건은) 마무리되었다.

주석
세록(世祿) 세록(世祿):대대로 나라에서 받는 녹봉.
아유구용(阿諛苟容) 아유구용(阿諛苟容):남에게 아첨하여 구차스럽게 구는 행동.
간향활리(奸鄕猾吏) 간향활리(奸鄕猾吏):간악한 이서들, 즉 좌수나 별감과 같은 지방 유지나 구실아치.
면주인(面主人) 면주인(面主人):군이나 현에 속하는 면 지역의 일을 보는 오늘날 면장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
사문사(査問事) 사문사(査問事):조사하여 캐묻는 일을 말한다. 수령들이 미풍양속을 바로잡는다는 구실로 탐학의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존문(存問) 존문(存問):고을 수령이 백성의 형편을 알아보려고 집을 방문함을 말하나, 사문사와 같은 방법으로 탐학에 이용되었다.
염라부 염라부:지옥의 주신(主神)인 염라대왕이 지배하는 유명계(幽冥界)를 말함.
솔개 솔개:원문에는 “호응(豪鷹)이 비금을 움키듯이”라고 하였음.
삼문 삼문(三門):수령이 있는 동헌 둘레는 담장을 두르고, 앞에는 문이 3개인 삼문을 설치하여 나졸이 지키도록 하였다.
폐문루(閉門樓) 폐문루(閉門樓):지방 관아의 삼문 앞에 주로 위치하며, 누각에는 시각을 알리는 북이 매달려 있다.
급창 급창:관아에서 수령의 말을 전달하는 사내종.
월소정장(越訴呈狀) 월소정장(越訴呈狀):당해 기관을 거치지 않고 상급 관청이나 다른 관청에 소정을 넣는 행위.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