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학초전 박학초실기
일러두기

유년 교육

학초 나이 8세에 입학하니 가정이 빈한하게 내려온 관계로 서책은 전혀 없고, 다만 있는 것이라고는 떨어진 천자문 한 권이었다. 가정에서 넉넉히 배울 학문도 없고 동리 안에도 배울 것이 없어 십 리 밖을 매일 내왕하며 동냥글을 배우기도 하였다. 외가인 풍기군 조고리에 가서 어린아이가 공부(蒙學)를 하고 있으니 부용산에 떠 있는 구름과 어림성 위에 떠 있는 달은 놀고 보던 정든 곳이다. 외가에 허다하게 과일나무가 많으니 8월, 9월 단풍 들 때에 이 나무 저 나무 과수에도 정든 곳이다. 외가에서 불쌍히 여겨 베푸는 은혜는 인정상 백년을 잊을 수 없으나, 해 지는 저물녘에 집 있는 곳을 바라보면 유아의 마음에 보고 싶은 부모를 그리워하였다. 이곳에 와서 글을 배우는 것은 집에 서책이 없기 때문이었다. 남의 책을 산질(散帙)이나마 얻어 읽고 갖다 줄 때에는 여간 배운 것은 그 책에 정도 들고, 배운 정신까지 아울러 그 책에 싸다 주니 돌아설 때 서운함이 자기 물건을 잃은 것보다 못하지 아니하였다. 구절 요점에 다시 최고를 하자 하니 다시 볼 길 없어 배우지 않았을 때와 한가지였다.
 남의 집 사랑에 가서 보니 최 선비와 배 찰방이라는 사람의 집에 서책을 사랑방 층장에 많이 쌓아 놓고 자손이 공부하기 좋은 것을 용이 바다에 노는 듯이 하니 이것이 소위 배우는 것이다. 문장 재사(才士)가 악양루(岳陽樓)의 동정호를 구경하는 듯 천고의 흥망이나 성현 군자의 행적이나 재주 많은 가인(佳人)을 실제로 눈앞에 마음대로 두고 보니 심중에 붙여 온 마음 어찌 다 측량하리오. 서책만 많이 있고 보면 부(富)와 귀(貴)도 이곳에 있는데 남에게 말도 못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마음속에서 “어떤 집 선조는 이같이 하여 자손의 교육을 아주 하기 좋게 하였는고? 대장부 의당 이와 같이 못하면 어찌 사람이라 하리오.” 하고 생각하였다.

주석
풍기군 조고리 풍기군 조고리:현 예천군 하리면 탑리.
산질(散帙) 산질(散帙):질로 된 책 중에 몇 권이 빠진 남은 몇 권을 말함.
찰방 찰방(察訪):역참에 근무하는 종6품 벼슬.
악양루(岳陽樓) 악양루(岳陽樓):중국 호남성 양자강 입구 동정호에 있는 정자로 두보의 시에 자주 나온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