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해 병진년(1856년) 4월이었다. 양산군 천성산(통도사 뒤에 있다)에 들어가 3층의 도단(道壇)을 쌓고 향과 폐백을 갖추어 광제창생(廣濟蒼生)의 뜻을 발원하면서 49일 동안 경건하게 기도를 했는데 그 기간이 이틀이 못되어 마음의 흐름이 홀연히 스스로 용솟음쳤다. 스스로 자기의 숙부가 병을 돌아가셨음을 헤아리고 드디어 마음을 닦는 일을 철폐하고 하산해 보니 장례를 이미 치렀다.
정사년(1857년) 여름에 다시 천성산에 들어가 칠칠일(七七日) 기도를 거행하였다. 그 때 영험이 원융해서 충만하여 마치 홀로 얻은 신묘함이 있었다. 집으로 돌아와서 견도망산(見道忘山)
그 때에 이웃에 한 노파가 살았는데 별안간 미친병
이후로 제세주는 무리를 떠나 홀로 살면서 수정(守正)의 학
제세주가 비로소 광제창생의 큰 뜻을 품고 옷을 떨치며 집을 나와 양산과 울산의 사이를 두루 돌아다니다가, 기이한 중으로부터 신령스런 글을 받아 현기(玄機,깊은 기미)를 스스로 깨쳤다. 도단을 천성산에 쌓고 정성껏 북두칠성에 빌었다. 마침내 숙부의 병을 알았으며 이웃집 할미의 병을 낫게 했다.
이는 특히 제세주의 작고 작은 그저 사소한 일일 뿐이다. 여기 저기 주유하다가 마침내 용담 옛집으로 돌아와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살면서 걱정이 없었으며 도를 좋아해 스스로 즐겼다. 하늘이 우리 제세주로 하여금 은거하며 연찬을 다하게 함으로써 널리 덕을 펼치고자 한 것이 아니겠는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