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30일 [同日]
선봉진이 보고합니다. 28일에 전주로부터 전진한 사정은 이미 보고하였거니와 같은 날 30리가량을 가서 금구현(金溝縣)에서 점심을 먹고, 20리가량을 가서 원평 거리(巨里)에 도착하니, 25일에 적을 토벌한 뒤라 불에 탄 가게와 여염집이 잇달아 40여 집이었습니다. 비류가 저장해둔 곡식 몇 백 섬과 민가의 물건이 모조리 불에 탔기에 보기에 참으로 근심스럽고 참담하여 약간의 흩어진 백성을 불러서 우선 아직 불타지 않은 집에 머물면서 차차로 집을 지어 살 곳을 마련하라고 더욱 각별히 타일렀습니다.
17리 쯤을 가서 태인(泰仁) 석현점(石峴店)에 도착하니 수십 채의 인가가 역시 불에 타버려 연기와 불꽃이 아직도 가득하여 몹시 참담하고 절통하였습니다. 장위영 대관 윤희영·이규식이 소대를 이끌고 원평을 후원하고 바로 태인읍(泰仁邑)내에 도착하여 비류 수천 명을 토벌하니 총살한 숫자가 매우 많았으며, 생포한 《동학농민군과》획득한 물건이 또한 많았습니다. 《그 부대가》태인읍에서 숙박할 때 《우리가 머문》가게의 앞길에서 상부의 명령을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에 대개 그 상세한 전황을 들었습니다. 이에 행군하는 부대와 같이 3리쯤을 가서 태인읍에 도착하니 7,800의 가호가 또한 불에 타버렸는데 “모두 비류들이 흩어질 때에 불을 지른 것이다”라고 합니다. 몇 백의 읍내의 집도 관아 건물들과 함께 모두 텅 비어 있었습니다.
몇 명의 유랑하는 백성을 불러서 만방으로 타이르니 조금씩 와서 모였으나, 혹 멀리 도망한 자도 있으며 또 비류들의 위협에 못 이겨 따른 자도 있어서 끝내 안접하지 못하였습니다. 마침 비류가 쌓아둔 남은 곡식이 있어서 이것으로 각 진영을 먹인 후에 그대로 이곳에 머물면서 들으니, “비류들이 다시 진을 치고 정읍(井邑) 등지로 전진한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그 다음 날 29일 진시 경에 일본군 각 부대와 더불어 한꺼번에 출발하여 30리를 가서 정읍현(井邑縣) 앞 가게에 도착하였습니다. 그러나 비류는 이미 도망하여 끝내 자취가 없었기 때문에 20리를 더 전진해서 정읍현 중흥리(中興里)에 도착하여 유숙하였으며, 일본병사는 천원참(川原站)에서 나누어 주둔하였습니다.
금구현 아래로 100리 되는 길에는 객점과 여염집을 말할 것 없이 원평과 석현이 모두 불에 탄 외에는 가끔 한두채가 불에 탔지만 인가에서 밥짓는 연기가 아주 끊어지고, 사는 백성들이 없으니 보는 바가 절통하여 이미 뭐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태인읍에서 장위영 2소대와 일본병사 60여 명이 도착하여 처음엔 전승사실을 일본 진영의 지시 때문에 처음에 보고하지 못했는데, 이후 승전사실을 전주에 주둔한 장위영 부영관 이두황에게 급히 보고하였다고 하니《이두황이 이쪽으로》전달하여 보고하면 급히 보고할 계획입니다.
생포한 여러 놈은 이미 일본 진영에서 참작하여 방면하였다 하므로 또한 문초하지 못하였습니다. 비류의 정황은 다수가 나주(羅州) 근처에 주둔하고 있다고 하는바, 일본 사람이 그들 각 부대가 일제히 도착하는 것을 기다리기 위해 하루를 더 머물 것을 청하므로, 그대로 천원에서 머물렀다가 차차로 전진할 계획입니다. 지나가는 길의 상황을 먼저 급히 보고합니다.
제(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