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6일 [同日]
공주 광정참의 동장(洞長) 장원경(張元敬)이 올립니다. 우리 동네는 길이 넓고 참(站)이 커서 자주 주력부대가 지나가고 또한 비류의 침탈을 당해서 태반이 흩어져서 거의 참이 끊어질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지난 달 29일 장위영의 군대가 행군하여 우리 동네에서 머물러 지냈고, 이튿날 비가 와서 초 2일에 아침밥을 먹은 뒤에 출발하려고 할 때에, 죽산 사또께서 밥상과 말죽의 표를 모아 도장을 찍어 주었는데 분주한 때라 무심코 받아 두었습니다. 식사를 제공한 각 병사들에게 받아두었던 표지를 차례로 세어 보니, 표지를 받은 뒤에 더 들어간 밥상이 450상이 되고, 더 들어간 말죽이 32통이 되고, 장작이 68짐, 삭쟁이와 가랑잎이 17짐, 등기름이 4그릇이나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것에 의거하여 마을의 어려운 백성들을 보호해 달라는 뜻으로 본 관가에 호소하였으나, 마음대로 하기가 어렵다는 분부가 있었습니다. 이에 감히 우러러 하소연합니다.
사리를 따져 엄히 지령을 내려 값을 제 수량대로 받도록 앞으로 마무리짓도록 해주십시오. 뒤에 기록한 각 마을은 광정참의 계방촌(稧防村)인데, 저희 마을과 뒤에 기록한 각 마을은 애초 한사람도 동참한 적도 없고 봄부터 지금까지 참(站)에서 응접하는 일에 힘을 다하였습니다. 그런데 병사들이 지나갈 때마다 번번이 비류를 수색하는 일로 소요를 일으켜서 거행하기가 어려워 부역에 응할 길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참작하시어 아래 기록과 차이가 나는 조항을 본 관에게 지시를 내려주십시오. 그리고 병사들이 정탐하는 일에 대해 엄한 말로 명령하여서 저희들이 편히 살면서 공역(公役)을 거행하도록 하여 주십시오.
제(題): 큰길가의 참(站)에 폐단이 생기니 안타깝다. 아래 기록에 누락된 것은 상세하게 조사하여 별도로 지급하고, 병사들이 폐를 끼치는 등의 지탱하기 어려운 고통은 방금 명령이 있었으니 반드시 이를 거행하여 혹 조금이라도 소란을 피우는 일이 없게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