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갑오해영비요전말
일러두기

해주유생이 관찰부에 올리는 소장의 초를 부침 [附海州儒生稟狀觀察府草]

삼가 아뢰기를 나라를 지키고 백성을 다스리는 책임에 만약 뛰어난 공로와 공훈이 있으면 역사에 기록하여 후세에 남기고 금석에 새겨 나라의 법으로 권장한 후에야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것입니다. 전(前) 순상 정공(鄭公)은 위세와 명망 그리고 이름과 명예가 조정과 민간에 평소부터 드러났고 다행히 이 나라의 관찰사로 임금의 은택과 시정의 은혜, 그리고 백성을 사랑하고 유학을 숭상하는 시술이 널리 퍼져 장차 기울어진 기구를 정돈할 수 있었고 거대한 폐막이 다시 회복되었습니다.
도민들이 복이 없어 갑자기 동쪽과 서쪽에서 난리가 나는 시기를 당했습니다. 그 비류(匪流)의 죄악을 살펴보니 도륙을 내야함이 맞습니다만 특별히 널리 구제하는 어진 정사를 베풀고자 전령을 죽천에 동비(東匪)들이 모여있는 곳으로 보냈습니다. 그들을 의(義)에 의거하여 책망하고 이치로 깨우치니 이제까지 순종하지 않던 동도(東徒)들이 모두 기뻐 감복하여 귀순하였으며, 수만의 비포(匪包), 동학의 조직가 하루아침에 와해되었습니다.
또 임종현, 성재식 두 우두머리 외에 모두 죄를 용서해줄 뜻으로 사방이 통하는 길에 방을 걸어 두니, 강제로 가입한 동도(東徒)들이 기뻐 감복하여 귀순하였고, 적(賊)의 우두머리를 추종하던 자가 안심하고 흩어져 가니 모두 부처가 다시 살아 왔다고 칭송하였습니다.

정치와 교화의 실적을 이미 경부(京部)에 올린 유임을 원하는 장계에 간략하게 거론하였으니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장계를 물리치심에 이르러서 민심이 몹시 허둥지둥하여 앞일을 예측할 수 없고 위태롭기가 마치 달걀을 쌓아 놓은 것과 같습니다.

아름답고 훌륭하기도 하도다! 하늘이 이 백성들을 버리지 않아 순상(巡相)을 조희일(趙熙逸) 공(公)으로 교체하여 보내주셨는데 조공은 일찍이 관서지방의 관찰사로 있으면서 백성을 어루만져 화평하게 한 명망이 있었습니다. 때문에 이곳 해변지방의 난리로 인해 상처 입은 백성들을 와서 돌보게 되었으니, 그분은 앞서 있던 정공이 약속한 그대로 동도(東徒) 가운데 마음을 바꿔 의를 지향하고자 하는 자는 회유하고, 혼미한 생각을 고집하여 그것이 습성으로 굳어진 자는 물리쳐버렸습니다.
그로인해 부임한 몇 개월 사이 요사한 기운이 깨끗이 없어지니 도내가 편안하고 조용해졌습니다. 마침내 구렁텅이에서 뒹구는 민인(民人)을 매우 편안하게 조치하여 도내의 생령(生靈)들이 오늘날 까지 살아있을 수 있었던 것은 정현석(鄭顯奭)과 조희일(趙熙一) 두 공(公)이 이룬 은택 때문입니다. 따라서 앞뒤로 이어온 전한(前漢)의 소부(召父)와 후한(後漢)의 두모(杜母)를 찬양하던 노래는 다만 저 두소(杜召) 2사람만 칭찬하는데 그칠 일이 아닐 것입니다. 남은 은택과 교화가 백성들의 마음에 두루 미쳐 멈추지 않으니 반드시 비석을 세워 그 덕을 기려 만세토록 잊지 않는 사적(史蹟)으로 삼고자 아래에서 마음대로 만들었으니 극히 황송합니다. 저희들이 한목소리로 바라오니 처분해 주십시오. 삼가 간절히 바랍니다.

1895년 9월일

주석
찬양하던 노래 서한(西漢)의 소신신(召信臣)과 동한(東漢)의 두시(杜詩)는 서로 잇달아 남양태수(南陽太守)가 되었는데 모두 백성을 위한 정사를 하여 당시에 “전에는 소부(召父)가 있었고 후에는 두모(杜母)가 있다”라는 칭송을 받았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