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12일 [十二日]

시임(時任), 현직·원임(原任), 전임대신이 연명(聯名)으로 차자(箚子)를 올리기를, “근심스런 마음에서 빨리 처분을 내려주시기를 감히 아룁니다”라고 입계(入啓)하니, 비답하기를, “차자를 보고 경들의 정성을 모두 알았다. 그 행적을 조사하고 그 죄를 논할 때에 이러한 논의가 있어서 지난번의 것을 참작하여 처분하였다. 경들의 노성(老成)한 의견도 헤아려서 막지 않는 것도 공의(公議)이다. 위리(圍籬)의 형률을 더하여 시행할 것이니 경들은 헤아려주기를 바란다. 사관(史官)을 보내 이 비답을 전하라”고 하였다.
삼사(三司)가 합계하니, 비답하기를, “내가 이 죄인의 일에 대해 법을 어기려는 것이 아니고, 내 자신이 실정을 참작한 것이다. 지금 삼사의 논의가 매일 논쟁을 하여 공의가 갈수록 들끓는 것을 보았다. 죄인 김문현을 위리안치(圍籬安置)하고 가극(加棘)의 형벌을 더하여 시행할 것이다. 이와 같이 처분을 한 뒤에도 번거롭게 하면, 이것은 나와 승부를 겨루려는 것이니, 대궐 안에 있는 경들은 잘 알아라”라고 하였다.

주석
차자(箚子) 소장(䟽章)의 하나로서 일정한 격식을 갖추지 않고 간단히 사실만을 적어 올리는 상소를 말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