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양호초토등록
일러두기

승정원에서 열어보십시오 [承政院 開坼]

신(臣, 洪啓薰)이 호남에 진주하려는데 본영의 대관(隊官)인 이학승(李學承)·이두황(李斗璜)과 교장(敎長)인 이문구(李文九)·이명구(李明九)·양성록(楊聖祿)·최흥정(崔興禎)이 2개 부대의 병사를 거느리고 4월 초 3일 미시(未時, 오후 1∼3시) 경에 먼저 인천항에 무사히 도착하였습니다. 또한 대관인 오달영(吳達泳)·오원영(吳元泳)·원세록(元世祿)과 교장인 윤희영(尹喜泳)·추성엽(秋聖燁)·김대유(金大有)·한응연(韓應淵)·김진풍(金振豊)·홍명석(洪明錫)이 3개 부대의 병사를 거느리고 4월 3일 유시(酉時, 오후 5∼7시) 경 인천항에 도착하였습니다. 이런 연유를 임금께 급히 보고 하니, 절차에 따라 아뢰어 주십시오.

1894년(光緖 20) 4월 초 3일

주석
洪啓薰 1894년 봄 고부 무장에서 동학농민전쟁이 일어나고 충청도에서도 농민봉기가 전개되자 조정에서는 황급하게 정령관의 직위에 있는 홍계훈을 양호초토사로 임명하고 서울 수비대인 장위영과 강화도 수비대인 강화영[沁營]의 군사를 주축으로 토벌군을 편성하여 충청도와 전라도로 파견하였다. 초토사는 병란이 있을 때 임금이 특별히 임명하는 임시 직책으로 현지의 군사 지휘권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현지에서 필요한 모든 군수물자와 인력을 징발할 수 있는 권한도 주어졌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