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195. 월과절목[一九五 月課節目]

一. 매월 10일을 간격으로 2차 면강(面講) 1차 면시(面試)하고 사서오경과 『근사록(近思錄)』·『강목(綱目)』을 돌아가면서 강론하고 표(表)·책(策)·논(論)·의(義)·명(銘)·송(頌)·기(記)·율(律)을 임의대로 시제를 제출할 것. 一. 시예(試藝)를 설행할 때 반당(泮堂) 1원(員), 사성(司成)·사예(司藝)·직강(直講)·전적(典籍)·사학교수(四學敎授) 중 1원이 돌아가며 진참(進參)할 것. 一. 지방 유생, 남행(南行), 생원·진사, 유학의 경우 시원임(時原任) 문임(文任)이 천거하여 성균관에 보낼 것. 一. 제강(製講)의 획수(畫數)를 1년 동안 계산하여 성적이 뛰어난 2인을 선발해서 의정부에 천거하여 수용(需用)할 것. 一. 향사례(鄕射禮)와 향음례(鄕飮禮)를 강습할 것. 一. 8도와 5부(五部)는 향공법(鄕貢法)에 따라 문학이 뛰어난 사람은 이항(里巷)에서 사(社)에 천거하고 사(社)에서 읍(邑)에 천거하고 읍의 수령이 직접 시험하고서 도백(道伯)에게 천거하고 도백이 직접 시험하고서 성균관에 천거하고 성균관 대사성은 의정부에 천거하여 임금에게 아뢰는 것을 기다렸다가 거두어 등용한다. 입격한 자가 생원·진사인 경우 대과(大科) 초시(初試)에 항상 부치고, 유학인 경우 소과(小科) 초시에 항상 부칠 것.

주석
반당(泮堂) 성균관의 별칭. 그 주변에 성균관의 일을 돕는 사람들이 사는 마을을 반촌이라 한다.
사학교수(四學敎授) 서울의 초등교육기관인 중학 동학 서학 남학 등의 교육담당자를 말한다. 북학은 두지 않았다.
남행(南行) 고위 벼슬아치의 아들에게 시험을 보이지 않고 주는 음직(蔭職)을 말한다. 이들을 음관(蔭官)이라고도 부른다.
향공법(鄕貢法) 향촌에서 인재를 뽑아 추천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