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11월[十一月]

초 9일

나는 기동(耆洞) 고숙(姑叔)[여석무씨(呂錫武氏)]와 함께 영저(營邸)에 가서 신달판(申達判) 어른[신학휴씨(申學休氏]을 뵈었다. 그리고 복시의 대강의 줄거리를 물으니 금년의 복시는 공정한 도리가 없을 듯 하다고 하였다.

15일

조반을 먹었다. 선화당(宣化堂) 문 밖에 가니 복시에 응시한 유생들이 많이 와서 기다렸다가 이름을 부르면 차례로 들어갔다. 이어서 시(詩)·부(賦) 각 3수씩 출제하였다.[시제(詩題)는 ‘거문고를 타고서 사마의를 물리침[彈琴却司馬懿]’,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천도(天道)의 떳떳함이다’, ‘임금의 은덕을 널리 펼치고 백성과 더불어 즐기는 것은 자사(刺史)의 일’이다.] 나는 즉시 시권을 작성하여 제출하였고, 고숙 역시 시권에 글을 다 쓰고 시험장을 나왔다.

16일

비교방(比較榜, 급제자의 등급)이 나왔는데, 나와 고숙과 친구 조윤묵(曺允默)이 참방하여 비교(比較) 3인이 모두 당상(堂上)으로 올라갔다. 비교 유생 50원(員)이 모두 차례대로 열좌(列坐)하여 자리가 정해지자 시제를 걸었는데,[시제(詩題)는 ‘현량방정(賢良方正)하고 직언극간(直言極諫)한 선비를 등용함’이다.] 주필(走筆)로 써서 시권을 올리니, 그 순서가 바로 이천(二天)이었다. 조금 있다가 비교방이 나왔는데, 나는 낙방하고 고숙은 또 비교방에 참여하고 조윤묵은 원방(原榜, 과거급제)에 참여하였다.

주석
영저(營邸) 감영에 딸려 각 군아와 감영의 연락을 취하는 곳으로 그 책임자는 영저리라고 한다. 서울에서 업무를 보는 아전은 경저리라고 한다.
이천(二天) 답안지를 접수하여 10장씩 천자문 순서로 번호를 표시한 것이다. 첫 번째 답안지는 일천(一天), 두 번째 답안지는 이천(二天)이라고 하였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