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장흥동학농민혁명 기념관 (장흥군 장흥읍 읍성로 2)
  • 지 역
  • 전남
  • 주 소
  •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교촌리 4
  • 문화재
  • 분 류
  • 정 의
관련 역사적 사실
장흥지역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 최후 격전지로 알려져 있다. 장흥의 석대들은 당시 전적지로 80년대까지 이 일대에서 당시 전투의 흔적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이 동학농민혁명이 사실상 우금치 전투의 패배로 마무리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사실 우금치 전투 이후 전국 각지에서는 동학농민군과 일본군 및 관군과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장흥 석대벌에서는 남도까지 밀려난 동학농민군들이 전열을 가다듬고 일본군 및 관군과 치열하게 접전을 벌였다.
장흥 석대벌 전투는 동학농민혁명의 4대 격전지 중 하나이자 마지막 결전으로 꼽힌다. 동학농민군들은 이곳에서 마지막 힘을 모아 전세를 뒤집으려 했고, 전투는 그만큼 격렬했으며 농민군의 희생도 엄청났다.
석대들은 동학농민혁명 전투 가운데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2009년 국가 사적(제498호)으로 지정되었다. 전남도는 2015년 4월 26일 이곳에 기념관을 짓고 동학농민혁명을 기념했다. 전남도에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장흥 석대들 전적지 일대 2만 8771㎡에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및 기념관을 건립했다. 기념관은 연면적 2800㎡ 규모로 홍보영상실, 기획전시실, 체험전시실 등을 갖췄다.
달팽이 모양으로 지어진 기념관에는 영상실과 전시실, 체험학습실이 있다. 영상실에는 장흥 석대들 전투에 관한 동영상을 볼 수 있고, 전시실에는 동학농민혁명 당시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전시물이 있는데 ‘남도 장군’으로 불리며 최후의 결전을 이끈 장흥 접주 이방언, 전투마다 앞장서 동학군의 사기를 높였던 여성농민군 지도자 이소사 등의 활약상이 전시되어 있다.
사진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