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장흥 민보군 김한섭 묘 (장흥군 부산면 내안리)
  • 지 역
  • 전남
  • 주 소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내안리 837-1
  • 문화재
  • 분 류
  • 묘지
  • 정 의
  • 강진 전투에서 전사한 민보군 지도자 김한섭의 묘
관련 역사적 사실
김한섭(金漢燮, 1838~1894)은 장흥 흥룡동 출신으로 장흥 동학농민군 대접주인 이방언과 동문수학한 사이임. 1877년 금릉 대명동(현 강진군 성전면 송월리 대월마을)으로 이주하여 서재를 짓고 강학 할동을 시작하였고, 1887년부터 보암면 수양리(현 신전면 수양리)로 옮겨 강학 활동을 이어나감
1892년 12월 강진향교 장의(掌議)로 임명되었고, 1894년 이방언이 동학에 입도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타이르는 글을 보냈지만, 이를 이방언이 거절하자 절교하는 글을 보냄
이후 장흥 일대에 동학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박기현(朴冀鉉), 김병휘(金柄輝)와 함께 향약계를 조직하여 동학을 경계하는 글을 짓기도 함
동학농민혁명이 발발한 뒤 강진에서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해 민보군이 조직되자 김한섭은 그 수장이 되어 민보군을 이끌게 됨. 1894년 12월 7일 장흥과 강진에서 후퇴해온 동학농민군이 강진성을 공격하자 김한섭은 민보군을 이끌고 저항하다가 전사함
1910년 9월 18일 김한섭의 제자들은 그의 정신을 기리기 위한 단비를 내안마을 뒤편 산기슭에 세움. 「용동단 유허비」로 이름붙여진 이 비석은 김한섭과 김평묵의 묘단과 나란히 마련되어 있음
고증내용
「봉남일기」: 갑오년 12월 30일, 강진(江津) 뇌산(雷山)의 처사(處士) 김한섭(金漢燮)이 「경시적도문(警示賊徒文)」을 지었다가 동비(東匪)들에게 죽임을 당하였다고 한다.
「연파집」: 김오남의 기사. 리 강진현의 김오남(金吾南, 김한섭)은 일찍이 고산(鼓山) 임선생(任先生)註 001의 문하에 수학(受學)하여 여러 해 동안 있으면서 뜻을 독실히 하고 힘써 실천하여 오남(吾南)과 어깨를 나란히 할 자가 없었다. 선생이 그를 가상히 여겨 ‘오도남(吾道南)’의 뜻을 취하여 그에게 호(號)를 주었다.…(중략)…그 때에 태수(太守, 강진현감) 이규하(李奎夏)가 1개 면(面)의 병사를 그에게 통솔하게 하였는데, 그 의(義)가 사람들과 다른 것을 알고 그렇게 한 것이었다. 또한 그에게 병사를 인솔하여 그 성을 지키게 하였는데, 휘하의 병사가 목숨을 가볍게 여기고 그를 따른 것도 그의 의(義)가 그렇게 한 것이었다. 그 때에 수령이라는 자들 중에 의(義)를 망각하고 적에 붙거나 성을 버리고 도망을 가는 자가 있었으나 오남만은 그렇게 하지 않고 죽었다.
「연파집」: 부록 행장. 그 해 겨울의 12월에 적이 장흥(長興)을 도륙하고 부사 박헌양(朴憲陽)을 살해한 뒤에 앞을 향해 달려서 다시 강진(康津)을 함락시킬 때에 오남(吾南) 김한섭(金漢燮)선생은 도총장(都摠將)으로 적을 꾸짖고 죽었다.
「오남집」: 적도에게 경고하는 글.
「사복재집」: 종인 종림의 갑오년 사장. 강진(康津)은 처사(處士) 김한섭(金漢燮)이 유림(儒林)의 도총장으로 해를 입었다.
「영희당사집」: 김한섭이 적도에게 경고하는 글(警示賊徒文).
사진(1)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