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광양 섬진나루 동학농민군 전투지 (광양시 다압면 도사리)
  • 지 역
  • 전남
  • 주 소
  •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도사리 1455 일대
  • 문화재
  • 분 류
  • 전투지
  • 정 의
  • 동학농민군과 관군-일본군 연합군 사이에 수 차례 전투가 벌어진 곳
관련 역사적 사실
1894년 9월 1일 순천에 영남대도소를 설치하고 일대를 장악하고 있던 김인배와 유하덕 휘하의 동학농민군은 하동과 진주 등 경상도 서남부 일대로 진출하고자 했음
섬진나루는 광양과 하동의 경계지로 하동을 점령하기 위해서는 섬진나루를 이용할 필요가 있었음. 김인배와 유하덕 휘하의 동학농민군은 섬진나루를 건너 9월 3일 하동을 점령하였고, 이어 9월 18일에는 진주를 점령하여 그 일대를 석권한 바 있음
이후 대구의 관군과 일본군의 반격을 받은 김인배와 유하덕 휘하의 동학농민군은 10월 중순 이후부터 섬진강을 건너 순천으로 후퇴함
10월 18일 진주와 하동 일대의 동학농민군은 광양에서 하동으로 건너오는 동학농민군은 공격하였고, 10월 21일~22일에는 일본군과 관군이 광양 섬거역으로 건너와 동학농민군과 전투를 벌이기도 함. 이때 동학농민군을 이끌던 김인배와 유하덕이 섬진나루를 통해 순천의 영호대도소로 복귀한 것으로 보임
고증내용
「영상일기」: 1894년 9월. 영남 비류가 진(晉)□을 함락시키자 하동(河東) 화개동(花開洞)의 민정(民丁)이 방비를 설치하고, 안의군수 조원식도 방비를 설치하였다고 한다.
「駐韓日本公使館記錄」 6권: 日艦 筑波의 運航 및 全南地域에서의 活動 보고. 지난날 釜山에서 순천으로 향했던 우리 1개 중대와, 좌수영에서 南海縣을 거쳐 하동부에 이르러 우리 육군과 결합했던 100명의 조선 병사는 같은 날(5일) 오후까지 광양현에 도착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그 부대들이 하동부에서 蟾津江을 사이에 두고 月浦의 동학도와 교전했기 때문으로 생각합니다. 新城浦에서 우리 육군을 기다리고 있던 李周會 지휘의 500여명의 韓國軍도 단독으로 5일까지 순천으로 행군했다 합니다.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이상식 외 1996
이이화 외 2004
사진(4)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