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증내용
「광양현포착동도성명성책」: 1894년 12월 광양현에서 잡은 동도 성명성책, 영호대접주(嶺湖大接主) 금구(金溝) 김인배(金仁培)-효수, 봉강(鳳岡) 접주 박흥서(朴興西), 도당(徒黨) 주병서(朱炳西), 박기문(朴己文), 김상득(金尙得), 이름을 모르는 17명-포살, 영호수접주(嶺湖首接主) 순천 유하덕(劉夏德)-초8일 효수, 인덕(仁德) 접주 성석하(成石河), 사곡(沙谷) 접주 한군협(韓君夾), 옥룡(玉龍) 접주 서윤약(徐允若) 형제, 이중례(李仲禮), 하종범(河宗凡), 서통보(徐通甫), 도당 김차금(金且金)-초8일 포살, 월포(月浦) 접주 김명숙(金明淑), 인덕(仁德) 접주 박치서(朴治西), 도당 박치우(朴治右), 서달영(徐達永), 이름을 모르는 순천의 5명, 진주의 1명-초9일 포살, 순천 서면(西面) 접주 김가(金哥), 사곡 접주 한진유(韓辰有), 우장(牛藏) 도당 이차겸(李且兼), 옥룡 도당 박계련(朴啓連), 사곡 도당 하원준(河元俊)-10일 포살, 인덕 도당 김종지(金宗之), 박일조(朴日祚), 우암두(禹巖斗), 김백공(金白工), 추성관(秋成官), 김두화(金斗化), 강재윤(姜在允), 서성화(徐性化), 정재오(鄭在午), 조군선(趙君先), 유우석(劉又石), 김순용(金順用), 사곡 도당 김재원(金在元), 강재만(姜在晩), 삼가(三嘉) 고백준(高百俊), 고여진(高汝眞), 우장(牛藏) 도당 임수완(林水完), 강종오(姜宗午), 이만수(李萬水), 최독독(崔獨獨), 김치서(金致西), 칠성(七星) 도당 남상집(南相集), 김낙현(金洛玄), 김필성(金必成), 김원일(金元日), 옥룡 도당 정경순(鄭京順), 성통보(成通甫), 이관첨(李官僉), 김봉기(金奉己), 순천 김재좌(金在左), 김홍두(金洪斗), 이석기(李石基), 김윤실(金允實), 진주 김학수(金鶴水), 인덕 도당 오분돌(吳分乭), 오석곤(吳石坤), 오창순(吳昌淳), 유수복(劉水卜), 순천 서면 황재숙(黃在淑), 광양순천수접주(光陽順川首接主) 김학식(金鶴植), 칠성(七星) 도당 박동실(朴東實), 정문명(程文明), 순천 박한진(朴汗辰), 경상 곤양(昆陽) 장학용(張鶴用), 구례 김기철(金己哲), 경상 곤양 임재석(林在石), 옥룡 운하(云河) 박종률(朴宗律)-이상 포살
「광양섬계역포착동도성명성책」: 1894년 12월 10일 광양섬계역에서 잡은 동도성명성책, 도접주(都接主) 전갑이(全甲伊)-참수, 김석준(金石俊), 이현두(李玄斗), 안정근(安正根), 김용수(金用守), 김필수(金必守), 홍정기(洪正其), 염동필(廉東必), 김용이(金用伊), 김성이(金性伊), 나시돌(羅時乭), 윤윤원(尹允元), 강관옥(姜寬玉), 정득조(鄭得祚), 박치서(朴致西), 최경천(崔京千), 박영조(朴永祚), 유연금(柳連金), 정덕원(鄭德元), 최학렬(崔學列), 박만이(朴萬伊), 김종진(金宗辰), 김일선(金日先), 강성화(姜性化), 정이성(鄭以成), 전소로미(全小老未), 심이준(沈以俊), 동몽(童蒙) 조백원(趙伯元)-이상 27명 포살
「전라도각읍소획동도수효급장령성명병록성책」: 광양 박학목(朴鶴目) 등 49명을 갑오년 12월 22일에 잡아서 뒤늦게 보고함
「장계」: 경상도관찰사가 올린 장계(1894년 9월 30일), 광양과 순천의 동도 수천명이 깃발을 들고 뿔피리를 불고 포를 쏘고 함성을 지르면서 바로 성안으로 들어와서 묵거나 점심을 먹고 가기도 하였는데, 진주를 향해 가다가 들어왔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