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역사적 사실
전주화약 체결 후 손화중과 최경선은 광주지역을 담당함. 광주에 주둔 중이던 최경선은 나주를 공략하기 위해 1894년 7월 5일 휘하의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나주성을 공격함
7월 5일 공격을 위해 최경선은 7월 1일 5천 여명의 병력을 이끌고 노안면 금안리로 내려왔고, 나주 대접주였던 오권선도 나주지역의 동학농민군을 동원하여 7월 2일 금안리에 집결함
7월 5일 나주성 북쪽에 위치한 금성산을 거쳐 서성문을 공격하였지만, 나주성을 지키던 수성군의 저항에 부딪혀 동학농민군의 나주성 점령은 실패로 돌아감. 이후 손화중과 최경선이 이끄는 광주 동학농민군과 오권선의 나주 동학농민군이 합세하여 재공략을 시도했지만 나주성 점령은 실패로 끝남
고증내용
「금성정의록」: 1894년 7월초, 초하루. 적괴 최경선이 무리 수천을 이끌고 유린하여 멀리 몰아와 곧장 본주(本州)를 공격하였다. 오권선이 창귀(倀鬼)가 되어 그 무리를 이끌고 금안동(錦城山)에서 합진(合陣)하고 수삼 일을 침략하고는 금성산에 개미처럼 주둔하였다.
「각진장졸성책」: 1894년 12월 29일. 당일 오시(午時) 무렵 양측이 접전(접전)했을 때 아군과 서로 인접한 지역은 금성산(錦城山), 삽치(揷峙), 민치(民峙) 등 세 곳이었습니다. 쳐들어와서 아군과 충돌한 적들은 또한 수만을 헤아렸고, 대적하여 죽이기를 다섯 낮, 밤 동안 하였습니다. 제24일 사시(巳時) 무렵에 이르러 적을 막지 못하고 패하여 흩어지고 말았습니다. 적들의 기세는 거센 물결과 같아서 도저히 멈출 수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