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김제 원평장터 금구집회지 및 선전관 처형지
  • 지 역
  • 전북
  • 주 소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 149(옛 원평장터 일대)
  • 문화재
  • 분 류
  • 집결지
  • 정 의
  • 선전관을 처형한 곳이자 원평집회가 열렸던 곳
관련 역사적 사실
동학농민혁명 이전 1893년 3월 동학교도들의 집회가 있었던 곳이다. 이전 시기에 전개된 동학교도들의 집회가 주로 교조의 신원과 포교의 자유 등 종교적 목적에 치중하였던 것과는 달리 ‘척왜양’의 기치가 대두되었다.
한편으로 이곳에서는 1894년 4월 23일 장성 황룡촌 전투에서 경군을 물리치고 대승을 거둔 다음 전주로 북상하던 농민군이 하루 머물렀던 곳이며 4월 25일에는 국왕의 효유문을 가지고 온 이효응(李斅應)과 배은환(裵垠煥)을 살해한 곳이기도 하다.
고증내용
『일성록』, 고종 30년 3월 27일조
고종이 호남에서도 금구에 동학도가 많다 하니 전주 감영에서의 거리는 얼마이며 이들의 소굴을 격파하고 일소하는 방도를 묻자 김문현은 거리는 30리며 금구 원평에 과연 취당하고 있다고 답변하는 내용
「토비대략」,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3,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08, 373쪽. 동적의 40,000~50,000명이 한 무리는 보은 장내에 모이고 한 무리는 호남 금구 원평에 모여 척왜척양을 내새웠다는 내용
「수록」,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3, 2008, 15·17쪽
3월 25일 낸 금구현의 보고에서, “저들 무리들이 태인에서 점심을 먹고 원평에서 머물러 잤으며, 전주로 향할 것이라는 내용이 있었는데 원평의 마을 두민의 문장에 의거하여 이에 첩보합니다”라는 내용
一. 4월 초 1일 묘시(卯時, 오전 5~7시)에 낸 금구의 문장에는, “동학도 6,000~7,000명이 3월 29일 술시(戌時)에 태인현에 도착하여 곧바로 머물러 잤고, 4월 초 1일 오시(午時)에 금구현 원평점에 도착하여, 그 마을 앞 냇가에 진을 치고 곧바로 머물러 잤다고 하며, 다시 향한 곳은 없다”는 보고 내용
「양호초토등록」,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1, 2007, 119쪽.
원평점(院坪店)에 도착하여 그곳에 사는 주민들이 고(告)하는 내용을 들으니, “윤음을 가지고 온 2인이 저들에게 잡혀 이곳에서 살해를 당하고, 또 서울로부터 내려온 관원 1인과 하인 2인도 마침 여기를 지나다가 함께 살해를 당하여 5구의 시신을 함께 마을 뒤편에 버려 두었다”는 내용
「兩湖電記」,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1, 2007, 212쪽.
4월 29일 을해
금영에서 전주로 가기 위해 장성의 갈재를 넘어 완영으로 가기 전 금구의 원평에 이르렀을 때 농민군이 노문선전관과 하인 두 사람, 윤유선유종사 이효응, 배은환을 모두 살해했다는 내용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금구 원평취회」, 『김제땅 동학농민혁명』, 김제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박맹수 2010 22쪽
사진(4)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