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정읍 고부봉기 만석보 혁파비(지방문화재)
  • 지 역
  • 전북
  • 주 소
  •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하송리 198-4
  • 문화재
  • 분 류
  • 기념비
  • 정 의
  • 1898년 당시 고부군수로 재임 중이던 안길수가 고부민들의 원성의 대상이었던 만석보를 혁파한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관련 역사적 사실
1892년 4월 부임한 고부군수 조병갑은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기존 보가 있음에도 신보(만석보)를 막아 보세의 명목으로 농민을 수탈하여 “배들평야” 농민들의 분노를 야기시켰다. 고부농민봉기 당시 전봉준이 열거한 조병갑의 주요한 학정 8조항 가운데 두 개가 만석보와 관련이 있었다. ① 주민들을 동원하여 만석보를 건설하며 수세를 받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이후 강제로 징수한 일, ⑥ 보를 쌓을 때 수백 년 묵은 나무를 강제로 베어온 일 등이 그것이다. 만석보는 동학농민혁명의 도화선이 된 고부농민봉기를 유발한 고부군수 조병갑 학정의 상징물이었던 것이다. 1894년 1월 10일 전봉준의 지휘 아래 1천여명의 고부 농민들은 관아를 습격하고, 만석보를 부셔버렸지만, 완전히 철거되지 않은 채 있었다. 이에 1898년 9월 고부군수로 재직중이던 안길수가 만석보(신보)를 철거하니 농민들의 원성이 사라졌음
예동마을 주민들은 이와 같은 군수 안길수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그해 9월에 마을 앞에 “군수 안후길수 만석보혁파 선정비(郡守 安候吉壽 萬石洑革罷 善政碑)”를 세우게 되었던 것이다. 그 후 100여년 동안 방치되어 비문의 형태가 알아볼 수 없게 되자 뜻있는 지역주민들이 나서서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을 맞이하는 1994년에 비각을 세워 선정비를 보호하게 되었음
사진(4)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