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역사적 사실
문장로(文章魯, 1846~1919)는 태안 원북면 방갈리에서 1893년 2월 초 박덕칠을 통해 동학에 입도하였고, 그후 적극적인 포덕활동을 전개하여 방갈리의 접주가 되 었다. 박인호가 이끌던 덕포의 기포령에 의하여 30여명의 동학 우두머리를 구출하기 위한 비밀회의가 방갈리에 살던 문장로의 자택에서 진행되었다. 이후 그들은 논의대로 태안관아를 점령하여 동학의 우두머리 30여명을 구출하였다. 이 여세를 몰아 면천 승전곡 전투, 신례원 관작리 전투, 홍주성 전투에 태안지역의 동학농민군을 대거 이끌고 참여했다.
그러나 1894년 10월 29일 홍주성에서 패한 이후 관군의 체포령을 피해 태안일대 해안의 토굴과 야산에 은신하면서 예포 동학 조직의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1900년 동학의 지도부들이 지시한 조직 강화 밀명을 받고 태안 수접주로 임명되어 조석헌 등과 함께 비밀스럽게 조직 재건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이후로도 관군의 체포령을 피해 충남의 각 지역을 떠돌면서 포교활동을 벌이다가 1910년 예산군 신암면 탄중리 무한천변의 갈대밭으로 이주하여 천도교의 포교 활동뿐 아니라 독립사상을 고취하다가 1919년에 생을 마감하였다. 즉, 그는 동학에 입도한 이래 죽기 직전까지도 동학과 천도교를 통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한 내포동학의 주도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