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내포 해미읍성 동학농민군 전투지 (사적, 서산시 해미읍 읍내리)
  • 지 역
  • 충남
  • 주 소
  • 충남 서산시 해미면 남문2로 143
  • 문화재
  • 국가지정문화재(사적) 
  • 분 류
  • 전투지
  • 정 의
  • 동학농민혁명 당시 내포지역 농민군이 관군과 격돌하였던 전투지다
관련 역사적 사실
홍주성 점령에 실패한 동학농민군 주력부대는 이튿날 10월 29일 해미방면으로 퇴각한 뒤, 11월 3일 예산에 재집결하여 5일 해미읍성을 점령하였다.
그 무렵 이두황은 내포지역으로 출동하여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라는 명을 받고 10월 29일 공주 광정을 출발하여 11월 6일 덕산 가야동에 이르렀다. 병력은 3개 소 대 1,800여 명이었다.
동학농민군이 해미읍성을 점령해 있다는 소식을 접한 이두황은 11월 7일 새벽에 일락치(日落峙)을 넘어 해미성을 기습공격하였다. 하루 종일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 졌다. 이때 윤영렬이 인솔한 천안 의병도 이두황을 도왔다. 이 전투에서 동학농민 군은 무기마저 버리고 읍성에서 퇴각하였다. 이 과정에서 40여 명이 사살되고 100 여 명이 사로잡히는 등 수많은 희생자가 속출하였다. 살아남은 동학농민군은 다시 태안 매봉재(현 서산시 인지면 화수리 또는 음암면 신장리)에 집결하였다.
이 소식을 접한 이두황은 11월 8일 저녁 다시 기습하였다. 동학농민군은 두시간 쯤 저항하였으나, 전세가 불리하다는 것을 알고 화약을 폭발하여 물러날 수 있었 다. 해미의 동학 지도자 김지희를 비롯한 다섯 명이 붙잡혀 처형되었고 대포 1문, 천보총 7정, 조총 7정 등의 무기를 빼앗겨 큰 손실을 입었다.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忠淸道 內浦地域의 동학농민전쟁 전개양상과 특성 이진영 2003 36
내포의 동학 충청남도 2015 224
충남 동학농민혁명 전개와 역사적의의 박맹수 외 3인 2020 188
사진(4)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