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충주 미륵댕이 동학농민군 집결지 (충주시 신니면 선당길)
  • 지 역
  • 충북
  • 주 소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선당길 21-3(원평리 108-1)
  • 문화재
  • 분 류
  • 이동로
  • 정 의
  • 1894년 9월말에서 10월초 노선차이를 보이던 동학교단 소속 동학농민군이 화해하고 연합해 집결한 곳
관련 역사적 사실
1894년 9월 농민군의 2차 봉기 때, 최시형 등 북접지도자는 봉기를 반대하며 도리어 남접을 정벌하겠다고 나선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충청도 지역에서 강경파에 속했던 서장옥, 황하일 등은 북접지도부에 대해서 농민 봉기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는 대중 집회를 용수포에 열었다.
대접주 신재련은 진천 구만리 장터에 ‘일만명’에 달하는 동학농민혁명군을 집결시켰다. 이 조직은 교단의 방침에 따라 온건한 활동을 벌여왔으나 충주 용수포에 대규모로 집결한 황하일의 조직은, 일찍부터 급진 계열과 기맥을 통하고 있어서 서로 대립하였다고 하나 규명되지 않았다. 용수포엔 서장옥도 같이 있었다고 전한다. 용수포에 모인 동학농민혁명군은 노은 신의실을 거쳐 용원리(미륵댕이)로 이동해 갔다. 최시형이 봉기를 선언하면서 충주의 용수포와 내포에 각자 모인 부대는 대립 요인이 해소되고, 그 최고 지도자인 서장옥과 손병희는 이 미륵불 앞에서 화해하고 연합하게 된다.
이어 경기도 동학농민혁명군과 합진하고, 북접동학농민혁명군 주력의 전략에 따라 진천, 괴산, 청주, 보은 등지로 이동하였다. 맞은편 내포마을에는 동학의 충의포가 있던 지역으로 일찍이 이헌표 접주가 포교했던 마을이다. 미륵댕이는 신니면 사무소 앞의 사거리에서 518번국도를 타고 음성 금왕읍 방향으로 약 1.5KM 정도에 있는 내포교를 지나 곧바로 좌회전하여 100여미터 들어가면 있다. 유형문화재 18호인 약사여래 미륵존불이 있고, 그 뒤에는 보호수(시나무:충주 26호, 수령 360년, 높이 16m, 관리-원평마을)가 있다. 현재 동학농민혁명 관련 안내시설은 없다.
고증내용
1894년 9월말에서 10월초 노선차이를 보이던 동학교단 소속 동학농민군이 화해하고 연합해 집결한 곳으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18호로 지정되어 있는 미륵불이 있다. 동학농민혁명 관련 시설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충청지역 동학혁명의 전개과정, 호서문화연구 12 채길순 1994
충청북도 동학농민혁명사 연구 김양식 외 2006
충북 하늘 위에 피어난 녹두꽃 김양식 2011
사진(2)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