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천안 세성산 동학농민군 전투지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운전리 일대)
  • 지 역
  • 충남
  • 주 소
  • 31244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화성리 산 25 세성산 입구
  • 문화재
  • 분 류
  • 전투지
  • 정 의
  • 1894년 10월 21일, 1,500여 명의 동학 농민군과 이두황이 지휘하는 700여 명의 관군이 치열하게 싸움을 벌인 곳이다.
관련 역사적 사실
동학 농민군의 2차 봉기 후 남접의 수장인 전봉준과 김개남 등이 북상하면서 충청·경상·강원·황해도에 이르는 연합 전선을 형성하여 공주를 점령하고자 하였다. 공주는 북으로 차령 고개를 넘어 광정에서 천안 삼거리를 거쳐 서울로 이어지며, 남으로는 논산과 삼례, 전주 등 호남 지방으로 연결되는 요충지였다. 공주를 점령하면 충청 이남의 농민군을 대규모로 규합하여 더욱 조직적으로 장기적인 항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던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서울에서 내려오는 관군과 일본군을 공주의 북쪽에서 차단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천안의 동학농민군이 그 역할을 맡게 되었다. 목천 대접주였던 김용희와 김성지, 김화성이 관군을 막기 위한 장소로 세성산을 선택하였다.
세성산을 선택한 이유는 자연적 요새 위에 예전부터 사용되던 성터가 있었고, 우물이 있어 장기적인 항전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점이었다. 이후 이곳에 1,000여 석이 넘는 식량을 저장하였고, 민간에 전수되어 온 총포 기술을 통해 여러 가지 화기류의 생산도 가능하게 하였다. 세성산은 해발 218m의 낮은 산이지만 생김새가 마치 사자와 같아 ‘만인을 잡아먹을 만한 산’ 이라고 불리웠다. 산 중턱에는 삼한 시대부터 내려오는 농성(農城)이 있었는데, 농성은 식량을 저장하거나 일시적으로 피신하기 위해 만든 성을 지칭한다.『대록지(大麓誌)』에는 세성산의 농성이 삼국시대의 농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지형적 특징을 살펴보면 산의 북서쪽은 절벽으로 자연 방비가 가능하였고, 남동쪽은 1894년 9월 30일, 동학 농민군 1,500여 명이 세성산에 집결하여 토성을 쌓고 군사훈련을 하는 등 요새를 만들었다. 1894년 10월 21일 이두황이 이끄는 700여 명의 정부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결국 화력의 열세로 패배한 전투가 벌어진 장소이다.
현재 세성산 전적지는 세성산의 산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현재도 세성산 전적지에 대한 안내문이 별도로 없이, 기념사업회에서 만든 위령비가 서 있을 뿐이다. 그러나 세성산 전체는 곳곳에 1894년 동학농민군의 역사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세성산의 남서쪽 기슭에는 여우고개라고 불리는 고개가 있다. 이곳은 세성산에 진지를 구축한 동학농민군의 주요 주둔지가 자리잡은 곳이다. 이 여우고개를 북쪽으로 넘어가면 목천지역 중심거점인 복구정이 곧바로 이어진다. 전투가 개시되었을 때는 북쪽, 동쪽 방면으로 들어오는 진압병력에 대해 맞서 싸우는 동안 동학농민군의 퇴각의 경로가 되었던 곳이다.
다음으로 여우고개에서 세성산 정상부로 이어지는 구간의 중간지점에 망루터가 자리잡고 있다. 망루터는 고대산성으로서, 세성산 북쪽 방면의 목천 들판 일대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성거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산줄기와 독립기념관을 지나는 산방천과 위례산에서 흐르는 병천천이 세성산에서 합류하는 것을 조망할 수 있는 지점으로 의미가 크다. 가장 중요한 장군바위는 세성산 정상부에 있는 우람한 형태의 바위다. 바위의 윗면이 약간 평평하기 때문에 수십명이 함께 서있을 수 있는 곳이다. 바위 아래쪽에는 2개 소대 정도의 병사들이 거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세성산 전투를 전개할 당시에는 이 정상부를 중심으로 동서방향 날개의 능선에 수많은 깃발을 나부껴 장대한 기세를 보였다고 전한다. 동학 농민군 지도자가 농민군을 지휘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1894년 동학농민군의 천안 세성산 전투와 역사적 의의 배항섭 2020 48
충남 동학농민혁명 전개와 역사적의의 박맹수 외 3인 2020 188
사진(4)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