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무안 해주최씨 삼의사 실적비 (무안군 해제면 석룡리)
  • 지 역
  • 전남
  • 주 소
  •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석룡리 638-2
  • 문화재
  • 분 류
  • 기념비
  • 정 의
관련 역사적 사실
동학농민혁명 당시 무안지역에서는 형제나 부자가 함께 농민군에 가담하여 활발하게 활동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삼향의 배규인, 배규찬 형제, 몽탄의 김응문 3형제(應文, 孝文, 子文)와 응문의 아들 우신(禹信), 해제의 최장현 3형제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최장현(崔璋鉉, 1850-1894)은 자가 문빈(文彬)이며 호는 민제(敏齋)이며, 최선현(崔善鉉, 일명 善泳, 1867-1894)은 장현의 동생, 최기현(崔寄鉉, 일명 炳鉉, 1866-1894)은 장현의 사촌 동생이다. 해주최씨인 이들은 장현의 할아버지 때부터 이곳 석룡리에 터를 잡고 살았다 한다. 논 9마지기에 밭 20마지기로 비교적 넉넉한 편이었고, 함평의 향교까지 글을 배우러 다니기도 했다고 한다.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이 마을 일대의 장정 들을 모아 기포하였으며, 마을 앞 논에서 농민군을 훈련시키기도 했다 한다. 마을 앞에는 농민군이 마셨다는 동학우물이 있다. 최장현 등은 임치(臨淄) 첨사가 탐묵을 자행한다는 소문이 있자 농민군을 이끌고 공격하여 임치를 점령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들은 해제면에서 활동하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고향에서 은거하던 중 이웃 마을 주민의 밀고로 체포·처형되었다고도 하며, 비문에는 나주성 전투에 참여했다가 12월 25일 체포되어 27일 처형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해주최씨삼의사실적비(海州崔氏三義士實績碑)〉는 그들의 뜻을 기리기 위해 후손과 마을주민들이 1973년 봄에 건립한 것이다. 〈해주최씨삼의사실적비(海州崔氏三義士實績碑)〉 바로 앞에 있는 〈석산마을회관〉 뒤편의 들판이 민대들 농민군 훈련지였다고 한다. 마을회관 앞을 지나는 도로명이 동학길로 명명되어 있다.
사진(1)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