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무안 동학혁명투사 현창비 (무안군 몽탄면 차뫼길)
  • 지 역
  • 전남
  • 주 소
  • 전남 무안군 몽탄면 차뫼길 28
  • 문화재
  • 분 류
  • 기념비
  • 정 의
관련 역사적 사실
동학사에는 제1차 봉기 당시 일어난 무안지역 지도자로 배규인(배상옥), 배규찬, 송관호(宋寬浩), 박기운(朴琪雲), 정경택(鄭敬澤), 박연교(朴淵敎), 노영학(魯永學), 노윤화(魯允和), 박인화(朴仁和), 송두옥(宋斗玉), 김행로(金行魯), 이민홍(李敏弘), 박경춘(朴春京), 이동근(李東根), 김응문(金應文)을 들고 있다. 무안 지역에서는 형제나 부자가 함께 농민군에 가담하여 활발하게 활동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삼향의 배상옥(배규인), 배규찬 형제, 몽탄의 김응문 3형제(應文, 孝文, 子文)와 응문의 아들 우신(禹信), 해제의 최장현 3형제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가운데 김응문 일가의 경우 1894년 당시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와 이웃해 있는 다산리 차뫼마을 등지에서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었다. 김응문의 아버지는 광수(光綬)로 그에게는 4명의 아들이 있었다. 창구(昌九), 영구(永九), 학구(學九), 덕구(德九)였다. 김응문은 맏아들로 1849년(헌종 15)에 태어났다. 응문은 자이고, 창구가 본 이름이다. 그의 맏아들 우신(禹信)은 자가 여정(汝正)으로 1867년(고종 4)에 태어나 1894년 12월 9일에 죽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김창구의 동생 이름은 영구이고, 자는 효문(孝文)이다. 1851년(철종 2)에 태어났으며, 1894년 12월 12일 처형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막내 동생인 덕구는 자가 자문(子文)이다. 1868년(고종 5) 태어나서 김응문과 같은 날인 1894년 12월 9일에 죽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나주 김씨 가에서는 창구와 그의 아들 우신, 영구와 덕구 등 네 명이나 이 지역 동학농민군의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김응문은 “배상옥과 친교가 두터워 일찍 동학에 입도하여 몽탄면의 접주가 되었다”고 하였다.
제1차 기포시부터 동학농민혁명에 가담한 이들은 4월 18일 함평에 주둔하던 농민군 주력부대가 무안 접경을 넘어와서 하루를 머물렀을 때 주력부대에 가담하여 전주성 점령에도 참가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전주화약 이후 집강소 시기에도 차뫼마을을 중심으로 무안지역에서 활동하였고, 11월 17일부터 21일에 걸쳐 일어난 고막교 전투에도 무안 농민군들과 함께 가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사진(2)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